전체 글 (29) 썸네일형 리스트형 [Universal Principles of UX] (11) Less is more : 비울수록 채워진다 며칠만에 다시 디자인책을 펴서 정리함. 어차피 모두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아는 내용이지만, 나는 이 원리를 내 프로젝트에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지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일단 책 내용의 요는, 복잡한 프로세스에선 미니멀리즘을, 창의감성이 필요할 때는 극대주의를 취하하라는 입장이다. 맞는 말이다. 그래서 내 프로젝트에 "Less is more"라는 원리를 적용해본다면 어떨까라고 GPT에게 물어보니,'핵심 정보 강조 모드'라는 것을 추천해줬다. "📌 핵심 정보 강조 모드불필요한 데이터를 줄이고 핵심 역사적 흐름만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모드 추가.예를 들어, 연표나 지도에서 주요 사건과 인물만 하이라이트하고, 세부 정보는 필요할 때 확장 가능하도록.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방대한 역사 데이터 속.. 삶의 관성, 그리고 명퇴에 대한 불안(feat. GPT 상담사님) 요즘 드는 생각이제 삶에 완전히 관성이 생김 문제는 관성은 생겼는데 어디까지 가는지는 모름 회사도 몇년 다닐 수 있으려나 근본적 불안자기 전공도 아닌 일을 외국인에 그것도 주니어 개발자가 무사히 남들만큼 살 수 있게 된 건 기적같은 일이지만, 고용안정에 대한 사기업 재직자의 근본절 불안은 사라지지 않음(특히나 생성에이아이가 날로 득세하는 요즘에는 더 그렇다) 문제는 한 번 시작된 관성의 크기는 재직기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여러 이야기와 사례를 보면 40대 사기업 재직자들은 정말 파리목숨인데, 그 길이 파리목숨임을 알면서도 삶의 관성으로 인해 돌이키는 게 아주 어렵다는 게 더 무서움. 관성의 궤도를 틀어 파리가 아닌 들개 정도라도 되기 위해, 어떻게든 아등바등 하는 게 평범한 사기업 사람들의 삶인가 싶.. Yup빌드에러/fetcher와 에러모달/setTimeout문제 어제 밤 9시까지 야근을 했다. (야근수당은 제대로 나오니까 큰 불만은 없지만...)하루에 에러 대응 태스크가 3개가 날아와서 조금 힘들었지만, 어찌저찌 다 처리했다. 사람과 말을 안하고 하루종일 지피티랑만 대화하면서, 문제를 푸는 게 생각보다 재밌다.게다가 지피티는 대화모드 켜두면 훌륭한 대화상대다. 기술적 조언 최근 기술트랜드 물어봐도 척척...심심할 틈이 없다.1. Yup에서 빌드 에러 발생.Yup의 밸리데이션이 계속 문제를 일으킴.validationSchema에서 타입 단언(assertion)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는 타입스크립트에서 반환 타입을 명확히 지정하기 위한 것.일종의 any처럼 작동하는데, 급하게 땜빵할 게 아니라면 좋은 습관은 아니라 생각함.단언에 대한 지피티 상의 가르침✅ 타.. OpenAI, AI 브라우저 에이전트 "Operator" 출시 💭 개인적인 감상 정리아침회의에서 오픈에이아이의 오퍼레이터 서비스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다들 약간 무서워하는 분위기... Operator는 단순한 AI 기반 브라우저 자동화 도구가 아니라, 일반 사용자가 코딩 없이 웹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라는 점이 아주 인상적인데(동시에 무섭기도...) RPA, 테스트 자동화, AI 기반 업무 보조 분야에서 어떤 영향력을 가질지 주목할 필요가 있음. 📰 OpenAI, AI 브라우저 에이전트 "Operator" 출시🔹 💡 출시 개요OpenAI가 AI 브라우저 조작 에이전트 "Operator" 공개미국 ChatGPT Pro($200/월) 사용자 대상 연구 프리뷰 버전OpenAI 최초의 AI 에이전트, 사용자 대신 웹에서 작업 수행 🔹 🖥️ O.. [일경 업계지도2025] 일본 컨설팅 업계 이 업계는... 사실 가끔 만나는 N상이 이쪽 업계에 몸담고 있는데, 최근에 본인도 약간 AI에 위기를 느꼈는지 사업 가지치기를 통해 생존을 도모한다고 한다... 업계는 밝지만, 딥리서치도 나오는 상황에서 과연...?공부하는 데 꽤 재밌었다. 들어본 기업 이름도 많고. 다음에 N상을 만나면 아는체좀 해야겠다. 일본 컨설팅 시장 동향과 주요 기업 분석 🚀 📌 컨설팅 업계 상황✅ DX 지원 증가 –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DX) 추진으로 컨설팅 수요 증가✅ 인재 쟁탈전 격화 – 컨설팅 기업 간 우수 인재 확보 경쟁✅ 경영 과제 대응 필요 – 지정학 리스크, 탈탄소 정책 등 기업들이 컨설팅에 의존💡 지정학적 리스크 예시🇺🇸 미·중 갈등 심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경제안보 강화 필요 → 기업.. [오카네대학] 일본의 의료비공제 제도에 관하여 오랜만에 재테크 공부. 내 경우 아이가 머리 때문에 헬멧치료는 받았는데, 반년 정도 치료를 받고 거의 60만엔(55만엔 + 교통비...)이 나왔다. (그때 생각하면 어휴... 눈앞이 아찔했다.) 리베다이 료각쵸아 알려준 의료비 공제 관련 내용정리대충 타이핑하고 지피티에 입력하니 역시 예쁘게 정리해준다. (근데 요즘 지피티 써서 정리하면 AI가 쓴 거 같아 이상하게 반대로 신뢰가 떨어지는데, 적어도 내용은 스스로 다 타이핑을 하고 검수하니... 데이터의 진위여부 만큼은 본인 책임..) 의료비 공제 요약 🏥💰📌 공제 대상✅ 1년간 낸 의료비 중 10만 엔 초과분이 공제 대상✅ 임플란트, 라식, 불임 치료 등 포함❌ 미용성형은 제외🏥 의료비 공제 대상 예시🔹 전체의사·치과의사 치료비 💉입원 시 식.. 강화학습(RL), 증류(Distillation), 프로젝트 응용 아침에 채팅방에 강화학습과 증류 이야기가 나와서 개념을 약간 정리해보고, 내 프로젝트에 어떻게 응용할지 정리해봤다. RL에선 탐색패턴 최적화와 관련 인물추천이 해볼 만한 것 같고, 증류를 통해서는 추천시스템 경량화를 통한 로딩속도 개선 등을 노려볼 수 있겠다.📌 강화학습(RL)과 모델 증류(Distillation)란?강화학습(RL, Reinforcement Learning) 🧠👉 보상을 최대화하는 정책을 학습하는 기법👉 예제: AI가 게임에서 최적의 움직임을 학습하거나, 추천 시스템이 사용자의 행동을 기반으로 콘텐츠 추천📌 주요 알고리즘Q-learning: 특정 상태에서 최적의 행동을 찾는 기법DQN (Deep Q-Network): 신경망을 이용한 Q-learning 확장PPO / A3C: .. 🚀 Rust + WebAssembly: 차세대 웹 개발? 근래 종종 들어본 웹어샘블리..네이티브에 가까운 성능을 낸다고 하는데...나무위키에 따르면 과장이 섞여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일단 알아둘 필요는 있어 IT용어도감과 더불어, 지피티 센세를 통해 함께 간단히 정리해봄.🎯 정리✅ WebAssembly는 웹과 서버에서 고성능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 Rust와 결합하면 강력한 성능과 메모리 안전성을 보장✅ WASI를 통해 브라우저를 넘어 서버 및 CLI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 asm.js보다 더욱 발전된 성능과 호환성을 제공하여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 1️⃣ WebAssembly란?🌍 웹 성능을 혁신하는 기술WebAssembly(Wasm)는 브라우저에서 네이티브 성능에 가까운 실행 속도를 제공하는 바이너리 포맷.기존 JavaScript보다 빠른 실행..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