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일지

(4)
[아침회의 소재 준비] 초로 전해지는 문장술(한국어: 더 많은 사람이 읽게 만드는 글쓰기 기술) 한달에 한 번 정도는 아침회의를 내가 진행해야한다.이때 아이스브레이킹용 화재를 꺼내야 하는데, 희희낙락하는 이야긴 별로 하고 싶지 않아, 가능하면 이런 5분 10분 짧은 시간에도 업무에 도움이 되는 얘길 해보고 싶어 소재를 미리 준비해본다.**귀찮은 애들은 맨날 '토쿠니 요이데키나캇떼 스끼뿌사세떼구다사이...(특별히 준비된 게 없으니 스킵하겠습니다...)'이러고 넘어감.(업무시간인데, 그래도 뭐라도 준비좀 하자 ㅠㅠ 솔직히 별로 보기 안좋다. )얼마전 디자인 관련 SNS에서 '더 많은 사람이 읽게 만드는 글쓰기 기술'이라는 책을 알게 됐다.디자인 관련 책을 읽다보니, 어찌됐든 디지털세상에서 글쓰기는 중요하다고 그래서.다만 디지털세계에선 느긋하게 읽기보단, 사람들이 문제해결형 모드로 독해방식이 전환된다고 ..
개행 코드 「CR」・ 「LF」・ 「CRLF」의 차이 회의 시작 전에 어색하게 백엔드 리더 A상과 둘이 있다가 갑자기 '카이교코-도'에 대해서 이런저런 질문을 하길레...나는 '카이교 코도??' 뭔 솔...? 순간 당황해서 어버버거리다 그거 뭐냐고 다시 물어보고 난리도 아니었다. A상은 필시 '이새끼 뭐지...?'라고 생각했을 것 같다.  한국어로는 '강제줄바꿈', '줄바꿈' 이렇게 쓰는 거 같고 전산학에서는 개행(line alignment)이라고 한다.나무위키를 찾아보니, 잘못해서 아스키문자가 뿌려지는 시절도 있었다는... 그런 역사도 있다.PC통신 시절에 쓰던 VT 환경은 가로가 80바이트로 제한이 되어 있었는데, 2바이트 코드 지원이 미비해서 맨 끝 글자가 깨지는 일이 잦았다. 예를 들어, 한 행의 80열째에 글자를 쓰면 80, 81열에 한글 코드가 ..
Yup빌드에러/fetcher와 에러모달/setTimeout문제 어제 밤 9시까지 야근을 했다. (야근수당은 제대로 나오니까 큰 불만은 없지만...)하루에 에러 대응 태스크가 3개가 날아와서 조금 힘들었지만, 어찌저찌 다 처리했다. 사람과 말을 안하고 하루종일 지피티랑만 대화하면서, 문제를 푸는 게 생각보다 재밌다.게다가 지피티는 대화모드 켜두면 훌륭한 대화상대다. 기술적 조언 최근 기술트랜드 물어봐도 척척...심심할 틈이 없다.​1. Yup에서 빌드 에러 발생.Yup의 밸리데이션이 계속 문제를 일으킴.validationSchema에서 타입 단언(assertion)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는 타입스크립트에서 반환 타입을 명확히 지정하기 위한 것.일종의 any처럼 작동하는데, 급하게 땜빵할 게 아니라면 좋은 습관은 아니라 생각함.​​단언에 대한 지피티 상의 가르침​✅ 타..
OpenAI, AI 브라우저 에이전트 "Operator" 출시 💭 개인적인 감상 정리아침회의에서 오픈에이아이의 오퍼레이터 서비스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다들 약간 무서워하는 분위기... Operator는 단순한 AI 기반 브라우저 자동화 도구가 아니라, 일반 사용자가 코딩 없이 웹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라는 점이 아주 인상적인데(동시에 무섭기도...) RPA, 테스트 자동화, AI 기반 업무 보조 분야에서 어떤 영향력을 가질지 주목할 필요가 있음. 📰 OpenAI, AI 브라우저 에이전트 "Operator" 출시🔹 💡 출시 개요OpenAI가 AI 브라우저 조작 에이전트 "Operator" 공개미국 ChatGPT Pro($200/월) 사용자 대상 연구 프리뷰 버전OpenAI 최초의 AI 에이전트, 사용자 대신 웹에서 작업 수행 🔹 🖥️ O..